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

Immune cells: 호산구(Eosinophil) 면역세포 중 과립구의 일종으로 주로 기생충에 대한 면역 반응을 담당하고 있다. 비만세포나 호염기구와 함께 작용하여 알레르기나 천식을 일으키기도 한다. 골수에서 생성되어 혈액을 따라 순환하며 완전히 분화하고 이후 더 분화하지 않는다. 영문명인 Eosinophil은 호산구가 가진 과립이 산성 염료인 에오신(Eosin)에 잘 염색되는 특징 때문에 이름 붙여졌다. 에오신에 염색된 호산구는 밝은 빨강을 띤다. 호산구의 과립은 과산화효소나 핵산 분해효소, 지방 분해효소 등의 다양한 화학 물질들을 가지고 있다. 호산군 또한 탈과립(De granulation)을 통해 과립에 포함된 독성 물질들을 밖으로 내뿜어 기생충을 공격하는데 이 물질들은 숙주에게도 독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천식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 2024. 7. 23.
Immune cells: 호중구(Neutrophil) 호중구란 면역세포 중 한 가지로 과립구의 일종이다. 세포에서 과립이란 세포 안에 들어있는 자잘한 알갱이들을 말한다. 항원을 포식하는 것이 주 기능이나 대식세포와 다르게 리소좀을 이용한 분해 방식이 아닌 활성산소나 과산화수소의 독성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면역 반응에 의해 자극받았을 때 탈과립이라는 현상을 통해 과립 안에 들어있는 독성 물질들을 세포 외부로 방출하기도 한다.과립구는 보통 과립이 염색되는 색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붉게 염색되는 호산구(Eosinophil), 파랗게 염색되는 호염기구(Basophil), 둘 중 어느 쪽도 아닌 색으로 염색되는 호중구(Neutrophil)로 나눌 수 있다. 과립구는 면역세포의 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을 가지고 있다. 과립구 중에서도 호.. 2024. 7. 23.
Immunology: 선천 면역(Innate immunity)과 적응 면역(Adaptive immunity) 선천 면역(Innate immunity)우리 몸의 면역은 크게 선천 면역(Innate immunity)과 적응  adaptive immunity)으로 나누어집니다. 선천면역은 병균이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제일 먼저 일어나는 면역 반응입니다. 예를 들어 생활하다 베이거나 까져서 상처를 통해 병원체가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제일 먼저 활성화되는 수문장 같은 면역 반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선천 면역 반응은 병원체가 침입한 이후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일어나며 PAMP나 DAMP 같은 병원균이나 손상된 세포들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을 인지해 비교적 비 특이적으로 활성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PAMP: 병원체 연관 분자 패턴(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 2024. 7. 22.
Immune cells: 수지상세포(cDC1s, cDC2, moDCs, pDCs LCs) 수지상 세포란?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s, DCs)는 골수의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 HSCs)가 분화하여 생기는 면역세포의 일종이다. DC는 B 세포(B cells), 대식세포(Macrophge)와 같은 항원 전달 세포(Antigen presenting cells, APC)에 속한다. DC는 1973년, 캐나다의 학자인 Ralph Steinman과 Zanvil Cohn에 의해 쥐의 비장(Spleen)에서 새롭게 발견된 세포의 종류다. 이 세포들의 이름은 성숙하면서 보이는 가지가 뻗어나가는 형태로 인해 이름 붙여졌다. DC는 피부, 점막, 혈액 등 신체 전반에 걸쳐 분포하며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반응의 수문장 역할을 하고 있다. DC는 외부 병원균 및 항원에.. 2024. 7. 22.
Experiment: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이란 무엇인가 우리 몸과 모든 생명체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들이 모여 조직을 이루고 조직이 모여 기관을 만들며 기관들이 모여 하나의 생명체를 이룬다. 그러므로 세포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작은 단위라 할 수 있다. 세포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세포 각각이 만들어 내는 단백질들에 따라 그 기능이 달라진다. 생물학 분야에서 각 세포가 할 수 있는 일을 밝혀내는 것은 중요한 과제다. 그러나 세포들은 매우 작기 때문에 맨눈으로 확인하기는 애초에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의 똑똑한 선배님들은 방법을 찾아냈다. 각 세포가 가지는 단백질에 이름표들을 달아주고 그 이름표를 기계로 읽는 것이다. 이 실험 방법을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이라 한다. 세포들이 가지는 단백질들을 밝혀냄으로써 그 세포가 할 수 있는 일을 밝혀.. 2024.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