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 Experiment: Model organism(모델 생물) Model organism은 생물학 연구에 사용되는 사람이 아닌 생물들을 말한다. 특정 종에서 연구된 정보들을 이용해 다른 종에 대한 연구의 실마리를 얻기도 한다. 특히 사람에게 행해지는 연구는 불가능하거나 비윤리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른 종을 이용한 여러 연구를 통해 사람의 여러 질병을 연구하기도 한다. 진화학적으로 공통 후손(Common descent)인 생물종들은 보존된 유전적인 특성이나 발달 과정을 공유하기 때문에 model organism으로 사용될 수 있다. Model organism에는 동물 모델들이 다수 포함된다. 동물을 이용한 연구는 현대 제약 연구에서 성취를 이루게 해 주었다. 동물들을 이용한 연구는 사람의 생리학, 생화학, 신경과학, 감염성 질병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사람의 몸.. 2024. 8. 1. Immunology: Cluster of differentiation(CD 마커) CD 마커(Cluster of differentiation)는 면역학에서 면역 세포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포가 표면에 발현하는 마커들을 말한다.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분자들로 수용체, 리간드(Ligand)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수용체로 사용되는 분자들은 세포에 신호를 전달해 세포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전자의 발현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신호 전달에 사용되지 않는 분자들도 저마다의 기능을 담당하는데, 예를 들면 세포 표면에서 세포가 주면 조직들을 붙잡는 기능을 수행하는 마커들도 존재한다. CD 마커의 사용은 1982년 파리에서 열린 제1회 사람 백혈구 분화 항원에 대한 워크숍 및 컨퍼런스(the 1st International Workshop and Conference on .. 2024. 7. 29. Immune cells: 대식세포(Macrophages)-적응 면역에서의 기능과 기타 기능 T 세포와의 상호작용대식세포(Macrophge)는 T 세포에 항원을 제시하는 항원 제시 세포(Antigen presenting cell;APC)이다. 외부의 항원을 식세포 작용으로 먹은 후 가공 과정을 거쳐 MHC-II분자에 제시하여 CD4 T 세포가 인식할 수 있게 하고 T 세포를 활성화한다. 대식세포는 주로 조직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직에 분포하는 미접촉 보조 T 세포(Naive helper T cells)를 활성화하는 대표적인 세포의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는 림프샘에도 있긴 하지만 T세포 구역(T cell zone)에는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림프샘에서 대식세포는 보통 T 세포를 활성화하는 효율이 떨어진다. 림프 조직에 위치하는 대식세포는 보통 항원을 제거하여 항원이 다시 혈액을 타고 이동하는 것을 방.. 2024. 7. 26. Immune cells: 대식세포(Macrophages)-정의와 선천 면역에서의 기능 정의대식세포(Macrophage; Mφ, MΦ, MP)는 1884년 러시아 동물학자인 Élie Metchnikoff에 의해 발견 된 선천 면역에 주로 관여하는 면역세포이다. 이 세포는 병원체, 암세포, 각종 미생물들, 죽은 세포들의 잔해, 외부 물질들을 활발하게 잡아 먹는데 이를 식세포작용(Phagocytosis)라 한다. 대식세포는 식세포 작용으로 각종 감염과 질병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대식세포는 전신의 조직에서 발견되며 아메바처럼 돌아 다니며 병원체들을 찾아다닌다. 대식세포는 위치한 조직에 따라 다양한 이름을 갖는다. 식세포 작용을 통해 선천 면역을 담당하고 있으나 적응 면역 활성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대식세포는 항원 세포로 T 세포에 항원을 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대식세포의 .. 2024. 7. 26. Immune cells: 단핵구(Monocytes) 단핵구(Monocytes)는 혈액 가장 큰 면역세포로 대식세포(Macrophages)나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s)로 분화할 수 있다. 면역 세포로 동물의 선천 면역(Innate immunity)의 한 부분을 담당하여 적응 면역(Adaptive immunity)과 조직 회복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사람의 혈액에 존재하는 단핵구는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마커들에 따라 세 가지 이상의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단핵구는 세포 내에 아주르성 과립을 가지는 경우가 예외적으로 가끔 있으나 대부분 과립을 가지지 않은 비 과립성 세포이다. 직경은 15–22 μm 정도로 혈액 중 가장 큰 세포이다. 이 세포들이 가지는 둥글고 콩 모양의 단일한 핵의 모양 때문에 단핵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정상 상태 사람의 .. 2024. 7. 26. Immune cells: 호염기구(Basophils)/비만세포(Mast cells) 백혈구의 일종으로 혈액 내에서 0.5~1% 정도의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가장 큰 과립구이다.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천식(Asthma),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등 급성/만성 알레르기 질병에 관여한다. 각종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 세로토닌을 만들고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헤파린을 만든다. 비만세포는 조직으로 이동한 호염기구라고 생각했었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별개의 면역세포인 것으로 밝혀졌다. 독일인 내과 의사 Paul Ehrlich는 1879년에 호염기구를 발견한 공로로 1908년 노벨 생리 의학상을 수상하였다. 호염기구가 가진 과립이 염기성 염색약에 의해 염색이 잘 되는 성질에 의해 호염기구란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현미경으로 호염기구를 관찰할 .. 2024. 7. 2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