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

Immune cells: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MDSCs)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MDSC)은 골수에 있는 줄기세포가 분화한 여러 세포로 이루어진 면역을 억제하는 성질을 가진 세포들을 말한다. 만성 감염이나 암 같은 질병이 발생했을 때 골수로부터 세포가 분화하는 환경에 변화가 생겨 만들어진다. T cell, Dendritic cell, Macrophge, Natural killer cell 같은 다른 면역 세포들과 상호작용을 하는데, 다른 일반적으로 분화하는 면역 세포들이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는 것과 다르게 면역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종양 내부엔 MDSC들의 수가 많은 모습을 보이는데 이렇게 MDSC가 많으면 암 치료에 대한 예후가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종양 내부만 아니라 암 환자의 혈액에서도 MDSC가 증가한 모습이.. 2024. 8. 30.
항암 면역 치료(Cancer immunotherapy): 항암 백신(Cancer vaccine) ICI를 이용한 암의 치료는 여러 암에서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여러 암은 암이 되는 생물학적 메커니즘이 달라 다양성을 가지고 있으며, ICI의 작용을 회피하는 각각의 체계를 가지고 있어 ICI가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항암 백신(Cancer vaccine)은 암세포가 가지는 특정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암을 치료하려는 시도이다. 2006년, HPV16, HPV18에 의해 발병하는 자궁암을 예방하는 백신인 가다실(Gardasil)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 2010년엔 난치성 전립선암에 대한 최초의 치료 백신이자 DC 백신인 프로벤지(PROVENGE, Sipuleucel-T)가 FDA 승인을 받았다. 항암 백신에는 백신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크게 세포를 이용한 백신, 암.. 2024. 8. 14.
항암 면역 치료(Cancer immunotherapy): 면역 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ICI) 암 내부에 위치하는 effector T cell은 사이토카인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약해지고 암에 반응해서 다시 활성화되기가 어려워진다. 이런 상태의 T cell 상태를 "T-cell exhaustion"이라 한다. Exhausted T cell은 T cell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여러 분자를 표면에 발현한다. cytotoxic T lymphocyte antigen 4(CTLA-4), programmed death 1(PD-1), lymphocyte activation gene-3(LAG-3), T cell immunoglobulin and ITIM domain(TIGIT) 등 여러 종류가 존재하는데 이렇게 T cell의 기능을 억제하는 분자들을 통틀어 immune checkpoi.. 2024. 8. 13.
Immunology: 세포 독성 T 세포 아형(Cytotoxic T cell subsets) 전반적인 면역반응을 조율하고 조절하는 CD4 T cell과 다리 CD8 T cell은 직접적으로 표적을 죽이는 기능을 가진다. CD8 T cell의 이런 기능은 감염병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감염이 일어나면 naive CD8 T cell은 활성화되어 분열하며 Effector CD8 T cell로 분화한다. 이렇게 분화한 T cell은 감염된 세포들을 죽이고 다른 세포들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감염을 해결한 이후엔 기억 세포로 분화하여 다음에 같은 종류의 감염원이 침투했을 때 더 빠르고 강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급성 감염이 아닌 만성 감염이나 암같이 항원에 꾸준히 긴 기간 동안 노출되는 경우 기능이 약해져 타깃에 대한 면역반응이 약해지기도 한다. CD8 T cell의 .. 2024. 8. 12.
Immunology: 보조 T 세포 아형(Helper T cell subsets) CD4+ T cell은 적응 면역을 조절하는 메인 역할을 담당한다. 흉선에서 만들어지며 항원 제시 세포(Antigen presenting cells;APCs)에 활성화되어 Th1, Th2, Th9, Th17, Th22 등 여러 subset으로 분화한다. 어떤 항원인지, TCR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강도, 세포 주변에 존재하는 사이토카인 등 여러 조건에 의해 여러 subset으로 분화할 수 있다. 세포 외부의 사이토카인들은 세포 내부의 특정 신호 전달 체계(Signaling pathway)를 활성화해 각 subset 특이적인 수용체, 전사인자, 사이토카인들의 유전자를 발현하게 한다. 이를 통해 분화한 CD4+ T cell을 여러 subset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subset이 만들어 내는 물질들은 .. 2024. 8. 6.
Experiment: 마우스 모델 대표 strain(C57BL/6, BALB/c) 면역학 실험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동물 모델은 마우스일 것이다. 실험실에서 연구에 사용되는 쥐들은 크게 Inbred lines와 Outbred lines로 나눌 수 있다. Outbred line은 유전적인 차이가 크고 개체 간 차이가 심하다. 그러나 Inbred line은 개체 간 유전적으로 동일하고 안정적이고 환경에 대해 일정한 표현형을 보이기 때문에 생체 의학 연구에 적합하다. 실험실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는 마우스 strain의 유전적 배경은 주로 C57BL/6 와 BALB/c이다. 각 strain은 유전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반응과 표현형을 나타낸다. 어떤 strain을 사용할 것인가는 주로 어떤 면역 반응을 실험으로 볼 것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각각의 마우스들은 서로 다른 곳에서 독자.. 2024. 8. 2.